전체 글21 스포츠 스폰서십의 분류 현재 스포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폰서십의 분류는 권리 형태, 재화 제공 형태, 명칭, 사용 정도, 스폰서 대상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스폰서십의 분류에 따라 기업에게 제공되는 의무와 권리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1) 권리 부여에 따른 분류 ①독점스폰서(Exclusive Sponsorship) 독점스폰서란 스포츠 이벤트 또는 리그에 관련된 모든 스폰서 권리를 한 기업이 독점하는 형태의 스폰서십을 의미한다. 이러한 독점스폰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Brooks, 1994). 독점스폰서는 이벤트나 팀 명칭 또는 우승트로피 같은 곳에 스폰서의 이름을 독점적으로 명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 대부분의 스포츠 구단의 경우 기업이 구단 운영의 주체가 되고 팀 명칭에.. 2022. 9. 28. 스포츠 스폰서십의 이해 1) 스포츠 스폰서십의 정의 스폰서십이란 행사나 활동에 재정적·인적·물질적 지원을 제공하여 그 제휴를 통하여 상업적인 이익을 얻기 위한 행위이다(Watcher,Craig,Culling, & Harvey, 1991). 이를 후원이라 하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스폰서 또는 후원자라 부른다. Meenaghan(1991)에 의하면 스폰서십은 현금이나 물품을 특정 활동에 투자하여 그 대가로 얻을 수 있는 상업적 기회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정의가 말해주는 것은 스폰서의 입장에서 지불되는 비용은 특별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그들의 투자라는 것이다. 즉 스폰서십은 상업적인 목적을 위해 돈이 투자된다는 점에서 기부에 대한 답례로사회의 이익 외에 어떠한 기대도 가지지 않는 순수한 형태의 자선적 수여와는 구.. 2022. 9. 28. 제품의 위치화(Positioning) 스포츠 시장에서 자사 제품이 차지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를 찾아내는 작업을 제품의 위치하라고 한다. 즉 제품의 위치화(Positioning)란 소비자의 마음속에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차별화된 또는 특정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 마케팅믹스보다 위치화 작업을 먼저 하는 이유는 좋은 자리를 선점하고 있으면 경쟁이 더 치열해지더라도 훨씬 유리한 입지에서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정희윤, 2009). 결국 전략적 위치화(포지셔닝)는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을 말한다. 이미지가 제품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을 의미하는 데 반해 포지션은 일반적으로 경쟁자와 비교되는 소비자 마음속의 정해진 준거기준(Reference Point)이라는 점에서 이미지와는 차별화된다. 즉 자사의 제품이나 브랜드를 경쟁자로부터 비교.. 2022. 9. 28. 브랜드 네이밍(Brand Naming)과 아이덴티티(Identity) 3) 브랜드 네이밍(Brand Naming) 박지성 위스키, 김연아 에어컨, 이청용 도시락, 김태균 버거! 스포츠 스타와 스포츠 용어를 마케팅에 이용하려는 상표 출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스포츠 선수 이름은 '골프'가, 스포츠 용어는 “야구'가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2009년 특허청은 국내에 출원된 스포츠 관련 상표를 조사하여 발표하였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스포츠 스타의 이름은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41건) 였으며, “아놀드 파머'(39건), 황금 곰 '잭 니클라우스(31건) 등의 순이었다. 스포츠 용어도 스포츠 제품의 브랜드로 출원되고 있는데, 야구 용어인 '홈런'이라는 상표가 198건으로 가장 많이 출원되었다고 한다. 축구나 농구 등 많은 구기종목에서 사용하고 있는 '슛'이.. 2022. 9. 28. 이전 1 2 3 4 5 6 다음